'교육학'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교육학

17-18세기 교육/ 실학주의/ 계몽주의/ 자연주의/ 코메니우스/로크/루소/범애주의교육 (**실학 주의 유형과 내용, 루소, 페스탈로치 중요**) -실학 주의 (reallsm) -왕권신수설 주장 •인문주의, 종교개혁의 교육에 대한 반동 •관념적인 것보다는 실용성과 실천성을 중요시하는 교육 사조 (서적, 암기 위주) •경험론의 귀납적 방법과 합리론의 합리적 사고가 실학 주의 성립에 크게 기여 -언어 이전에 사물' (things before words) 사물을 먼저 배워야 한다. ex) 칠판을 나무라 부르는, 나무라 불러도 칠판, 사물은 사물 -'모든 지식은 감각으로부터' +++중세는 신중심의 신화적 사고, 과학적 X 17세기는 과학과 지식 혁명의 시대/ 과학(귀납법)으로 실질적(실증적)으로 증명/ 철학, 과학 발달 신학-> 과학, 초자연-> 자연, 교권-> 자유 +++17세기 교육인 언어주의.. 더보기
르네상스 교육/ 종교개혁과 교육/ 인문주의 교육/루터/메사추세츠 교육령 *르네상스와 종교개혁의 공통점: 종교개혁이 미친 영향 몇 가지와 교육의 대중화 1.문예부흥(rehascita > renaissance) • 르네상스 : 14~16세기에 걸쳐 서구 제국의 인간 생활태도와 세계관의 변혁 (신중심에서 벗어나고픈, 인간 중심 추구) • 과거로 돌아가려는 움직임과 새로운 미래로 나아가려는 움직임이 혼재 (그리스 로마를 부활시키고자 한 노력) 2.인문주의 (humaniora> humanism) 휴머니즘 • 중세의 기독교적 복음주의와 내세주의의 제약에서 벗어나 인간 본연의 자태로 복귀하려는 사상 • 중세: 신중심주의, 내세주의, 금욕주의, 교회 중심, 권위주의, 억압 주의, 성서/ 교육도 교회 관할 • 르네상스: 인간중심주의, 현세주의, 자연주의, 개인 중심. 이성주의, 자유주의, .. 더보기
중세의 교육/ 기독교 교육/대학의 발달/ 시민교육 *대학-중세 시기에 생김. 교육학에서 중세 중요함 *고대는 귀족들을 위한 교육이었고, 시민교육이 생겨나며 대학이 발생 -서로마 제국의 멸망 (476년) ~ 동로마 제국의 몰락 (1453년)까지 (약 1,000년) -암흑시대(Dark Age) -기독교 중심의 세계관 (정신세계지배) - 성리학 나 더 강하게 지배.(서양에서 빼놓을 수 없는 기독교 지배) -봉건제도 : 토지를 매개로 한 주종관계 (대토지사유 제도 + 종사 제도) -왕부터 농도까지 계급적 신분제도. 계급적 시대 -장원 경제: 영주와 농민 -철저한 신 중심주의. 신분주의 -주정주의 (emotionalism) -내세주의 : 현세는 내세를 위한 준비과정 -세계주의 : 만인은 신의 아들이며 사해가 동포이다(사해 동포 주의) -원죄설에 입각- 고행과 금.. 더보기
그리스 로마의 교육/ 스파르타/ 아테네 교육/ 서양교육사/ 교육의 역사 1. 교육을 위한 자녀 살해 (건강하지 않으면 죽이고, 쌍둥이이면 죽이고, 자연재해에 태어나면 죽이고 등) -종교적 의례: 부모가 병에 걸렸을 때, 전쟁 승리 기원 -> 죽음의 공포에서 벗어나려는 시도 -경제적 이유: 개인 또는 가족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 인간답게 살기 위한 계획 경제 (식량부족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생활의 어려움 때문에) 2. 성년식(initiation)(성년식 있는 나라가 더 발전적이라는 결과가 있음) -젊은이는 상당 기간 가정을 떠나 격리된 생활: 단식, 생매장, 치아 뽑기, 몸에 심한 상처 내기. -새로운 교육권 성립, 계획 의도된 교육 -집단 생존에 필요한 태도나 능력 함양 -공동 방위의 필요(국가 권력으로 강제) =>의도된 교육이 필요해서 시초 된 것이라 추측 -B.C.. 더보기
지능이론/ 지능검사 종류/ 웩슬러 지능검사/ 길포트 지능구조 모형/ 스텐버그의 삼위일체 지능이론/ 가드너 다중지능 이론/ 창의성 1. 지능 지능: 인간의 자적 능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심리학적 개념 1) 지능의 정의 - 1921년 미국의 교육심리 학회지의 편집자들에 의해 수향 되었던 연구: 심리측정학적인 정의가 주를 이루고 있다. - 1986년의 심포지엄: 지능의 모형이 사회적 맥락을 보다 광범위하게 반영해야 하며, 실생활에서의 지능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2) 지능 이론 (1) Spearman의 g요인설 - 일반 요인의 개인차는 각 개인이 지적 과제 수행에 사용할 수 있는 정신에너지의 개인차와 관련해서 이해해야 한다. - 일반 요인의 개인차는 경험의 포착, 관계의 유출, 상관인의 유출 등과 같은 세 가지의 '질적인 인지 원리'를 사용하는 능력의 차와 관련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2) Thurstone의 기본정신 능력 다요인 분석.. 더보기
학습자의 발달/ 피아제의 인지발달/ 프루이드의 성격발달/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1. 발달의 개념 1) 발달의 정의: 성장과 변화를 의미하는 발달에 관련된 연구는 발달심리학이라는 학문 영역 내에서 인간발달, 아동발달, 성인발달, 생애발달 등 다양하게 구분. 2) 발달에 대한 연구 동향 (1) 발달 연구의 역사적 고찰 -2차 세계 대전 이후: 정신분석학과 행동주의가 발달심리학의 주축. 이 시기의 연구자들은 인간이 처해있는 상황적·환경적 영향에 보다 관심을 둠. •1960년대: 인간이란 능동적인 존재라는 믿음을 바탕으로 발달을, 성숙과 경험 간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라고 보는 Piaget의 이론이 강조됨. • 1970년대: 정보의 흐름에 따라 상징을 조작하는 복합적은 체제로 이해하려는 정보처리 이론이 발전함. 20세기: 인간발달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구체적으로 시작되었다. 이 시기의 심리.. 더보기
교육심리학/ 교육심리학 개념 교사는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수업설계에도 정동해야 하고, 학급을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하며, 학생들의 동기를 촉진시키는 일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또한, 학생들과 학부모에 대한 상담가로서의 역할 그리고 학급을 이끄는 지도자로서의 역할 또한 수행해야 한다. 1. 교육심리학의 개념 (1) 교육학: 근대과학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교육의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고 연구함으로써 그 성과를 체계화한 하나의 과학체계를 의미하여 교육심리학을 비롯하여 교육철학, 교육사학, 교육사회학, 교육행정학, 교육법학 등 다양한 분야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2) 심리학: 인간의 행동을 기술 예언 · 설명 통제하려는 학문으로서 인간 행동의 원인과 표출양식의 근본적인 이해에 도움을 주고 있다. 심리학의 학문적 이.. 더보기
지식과 교육 지식과 교육 1. 인식론과 교육 1) 인식론: 진리 혹은 지식에 관한 학문 2) 교육과 인식론의 관계 교육의 ‘인식론’(전통적인 방법): 인식론의 연구 결과를 교육에 적용하는 관계 ‘교육’의 인식론: 인식론이 지식의 문제를 올바로 정립하기 위하여 교육에 의존 2. 인식론의 제 이론 1) 고전적 인식론 인식의 대상에 관한 이론-실재론과 관념론 인식의 원천에 관한 이론-합리론과 경험론 진리의 조건에 관한 이론-대응설 혹은 일치설/ 정합설/ 실용설 2) 분석적 인식론 명제적 지식(knowing that, propositional knowledge) 사실 명제를 안다. that을 안다. -논리적 지식(개념적 지식) ex. 총각을 분석하면 결혼하지 않은 사람이다. -사실적 지식(경험적 지식) ex. 지.. 더보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