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츠손입니다!
오늘은 금붕어가 있는 어항을 표현할게요.
어항은 물고기를 기르는 데 사용하는 유리로 된 항아리를 말해요.
투명하기 때문에 물고기가 움직이는 모습을 잘 관찰할 수 있어요.
여러분은 물고기를 키워본 적 있나요?
저는 베타 물고기를 2번 키워봤는데 쉽지가 않더라고요.
다른 동물처럼 즉각적인 반응이 없어서 키우면서 어려웠던 기억이 납니다.
오늘은 물고기 중에서도 금붕어를 표현할 거예요.
금붕어는 영어로 gold fish라고 합니다.
등에 빨간 모습이 매력적이에요.
금붕어는 얼룩무늬가 있는 것도 있고 황금색, 노란색, 주황색, 검은색 등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그럼 오늘의 미술 활동 시작합니다.
오늘의 준비물입니다.
-작은 색종이
-큰 도화지
-풀, 가위, 색칠 도구
먼저 금붕어를 접을게요. 금붕어 한 마리에 색종이 2장이 필요해요.
1. 색이 보이지 않게 네모 접어요.
2. 반대 방향으로도 네모 접어요.
3. 다시 펼치고 아래를 가운데 선 맞춰 접어요.
4. 다시 펼치고 방금 접힌 선에 맞춰 아래를 다시 접어요.
5. 뒤집어서 대문 접기 합니다.
6. 처음에 접었던 접힌 부분을 확인하며 옆 선에 맞춰서 비스듬히 접어요.
7. 양쪽 모두 접은 모양이에요.
8. 다시 반을 접어요. 모양 확인해 주세요.
9. 오른쪽 부분을 비스듬히 내려 접어요.
10. 다시 펼치고
11. 아래 종이 한 장을 들고 손가락을 넣어서
12. 세모 모양이 될 수 있도록 펼치면서 눌러 접어요.
1. 방금 접은 부분을 다시 오른쪽으로 넘기고
2. 가운데 선 맞춰서 오른쪽 종이 한 장만 비스듬히 접어요. 모양 확인해주세요.
3. 이제 다른 종이를 가져와서 세모 접어요.
4. 접은 상태에서 다시 세모 접어요. 한번 더 접어요.
5. 세모를 총 3번 접었어요. 사진처럼 3장이 되었죠?
6. 종이 한 장만 윗 선을 맞춰서 비스듬히 접어요.
7. 접은 모양 확인해주세요.
8. 아래 종이를 다시 펼쳐요. 세모 모양이 되죠?
9. 아까 만든 종이를 가져와서 흰 선을 따라서 풀로 붙이고 오른쪽 종이를 내려 붙입니다.
10. 눈도 표현해서 금붕어 완성합니다.
금붕어는 어항의 크기에 따라서 개수를 정해요.
저는 어항을 A4 크기로 만들어서 금붕어는 두 마리를 붙일 거예요.
1. 하얀 도화지를 어항 모양으로 그림을 그리고 오려요. 어항의 모양은 항아리 모양도 있고 수족관처럼 네모 모양도 있고 다양합니다. 자신이 원하는 모양으로 그림을 그리고 오려요. 물이 차있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서 하늘 색종이도 오려서 붙였습니다. 하늘색 종이가 없다면 물감이나 색연필로 색칠해도 좋아요.
2. 초록색 또는 연두색 종이를 가져와서 물결모양으로 잘라서 해초를 표현합니다.
3. 해초는 아래는 겹치게 붙입니다. 한 곳에서 많은 해초가 자라기 때문이에요.
4. 티슈를 잘라서 자갈을 표현합니다.
5. 티슈를 둥글게 말고
6. 어항 아래쪽에 풀로 붙입니다. 저는 자갈을 입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티슈를 사용했어요. 하지만 그림을 그려도 좋고, 클레이를 공 모양으로 만들어서 돌멩이를 표현해도 좋습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재료를 활용해보세요.
7. 색칠 도구로 물방울이나 어항 속을 꾸며서 완성합니다.
집에 어항 하나씩 들이는 것 어떠세요?
전지로 아주 큰 어항을 만들고 각자 접은 물고기를 붙여서
교실에서 키우는 것도 재미있는 놀이가 됩니다.
이름까지 붙이면 더 재밌겠죠?
그럼 재미있는 미술시간 보내고 다음 시간에 만나요!
참고 영상은 아래를 누르면 확인할 수 있어요.
www.youtube.com/watch?v=NGM2-DIPUpk
'미술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그라미 추상화/ 동그라미 쉽게 그리는 3가지 방법/ 그림 그리기 기초 (0) | 2021.05.10 |
---|---|
하트 상자 팝업 카드 만들기/ 팝업 카드 만들기/ 팝업 기초 (0) | 2021.05.07 |
그림이 변하는 신기한 미술/ 키친타월 미술/ 재밌는 미술/ 쉽고 간단한 미술 (0) | 2021.05.05 |
선으로 풍경그리기/ 점선면미술/ 쉬운 그리기/ 미술수업 (0) | 2021.05.04 |
점선면 삼각형 그림 그리기/ 미술의 기본요소 점, 선 ,면 / 초등미술 (0) | 2021.05.03 |